본문 바로가기
  • It's ssu-ssu
오늘의 핫이슈 & 뉴스

💜2025년 4월 10일 주요 뉴스 및 이슈 정리

by 유산균난발 2025. 4. 10.
반응형

 

2025년 4월 10일의 주요 뉴스와 핫이슈를 상세히 정리하여 블로그 포스팅용으로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각 소식의 출처와 링크를 함께 안내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미국, 중국에 125% 관세 부과 및 한국 등에는 10% 관세 90일 유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과 일본 등 다른 국가들에는 10%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주요 내용:

  • 중국에 대한 조치: 125% 관세 부과
  • 한국 등 동맹국에 대한 조치: 10% 관세 90일 유예
  • 목적: 미중 무역 갈등 속 동맹국과의 협력 강화

관련 기사: Trump imposes lowered 10 pct reciprocal tariffs on S. Korea, others for 90 days, 125 pct duties on China

 

 

2. 한국, 국제 청정에너지 논의 위한 실무 회의 개최 예정

한국 정부는 국제 청정에너지 협력을 위한 실무 회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번 회의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주요 내용:

  • 회의 목적: 국제 청정에너지 협력 강화
  • 한국의 역할: 글로벌 에너지 전환 주도 및 기후 변화 대응
  • 예상 결과: 청정에너지 분야 국제 협력 방안 도출

관련 기사: S. Korea to host working level meeting on int'l clean energy discussions

 

 

3. 제10차 한일 시민 우정 걷기 행사 진행

한일 양국 시민들이 참여하는 '제10차 조선통신사 옛길 한일 우정 걷기'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조선통신사의 여정을 따라 걸으며 양국 간 우정을 다졌습니다.

주요 내용:

  • 행사 목적: 한일 우호 증진 및 역사적 교류 재조명
  • 참가자: 한일 양국 시민 40여 명
  • 코스: 서울 광화문에서 일본 교토까지 약 1,158km

관련 기사: 조선통신사 따라 1158㎞…국적·언어의 벽은 길 위에서 사라져

 

 

4.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 및 역사 왜곡 지속

일본 정부가 발표한 '2025년 외교청서'에서 독도 영유권 주장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된 입장을 반복하여 한국 정부와 시민단체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독도 영유권 주장: 일본 고유 영토라는 주장 반복
  • 역사 왜곡: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된 서술
  • 한국 측 반응: 정부 및 시민단체의 강력한 항의와 시정 요구

관련 기사: 일본은 독도 문제와 역사 왜곡을 교묘하게 확대 중

 

 

5. 중소벤처기업부, 한일 글로벌펀드 조성으로 스타트업 지원 강화

중소벤처기업부는 한·일 벤처·스타트업 투자서밋 2025를 개최하고, 290억 원 규모의 한일 글로벌펀드를 신규 조성하여 스타트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

  • 펀드 규모: 290억 원
  • 운용사: 한국 신한벤처투자와 일본 글로벌 브레인 공동 운용
  • 목적: 한일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및 협력 강화

관련 기사: "유니콘 100개 만든다" 소식에…일본가는 창업가들

 

 

6. 전국에 비 소식…황사비 주의 필요

기상청은 4월 10일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하며, 특히 황사가 섞인 '황사비'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주요 내용:

  • 날씨 예보: 전국에 비 소식
  • 특이 사항: 황사가 섞인 비로 인한 대기 오염 우려
  • 주의 사항: 외출 시 우산 지참 및 황사 마스크 착용 권장

관련 기사: 2025년 4월 10일 전국 비소식…'황사비 조심하세요'

 

 

이상으로 2025년 4월 10일의 주요 뉴스와 핫이슈를 정리해 드렸습니다.

각 이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공된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